JHW01

JHW02

일시 : 2013년 12월 18일 수요일 오후 7:30
장소 : 영산아트홀
주최 : 유니코예술기획
후원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동문회, 이탈리아 F. TORREFRANCA 국립음악원 동문회
티켓 : 전석 2만원 (학생할인50%)
티켓예매 : 예매하러가기
문의 : 유니코예술기획 02-532-4876

 

Baritone 정한욱

뛰어난 연기력과 감성적인 목소리로 이탈리아 언론의 호평을 받아온 바리톤 정한욱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이탈리아 F.TORREFRANCA 국립음악원, 루마니아 TIMISOARA 국립극장 OPERA ACADEMIA, 이탈리아 ACCADEMIA MUSICALE “G. DONIZETTI”, ACCADEMIA SUPERIORE SAN CARLINO DI BRESCIA와 CORSICO 시립음악원을 졸업하였고, 양재무, 최홍석, 김정열, Umberto Grilli, Fiorella Pediconi, Paolo Barbacini, Sem Cerritelli를 사사하였다.

NOTTE VERDIANE 콩쿨 2위, CAPRIOLO, TERRE DEI FIESCHI 콩쿨 입상, CONCOURS LYRIQUE INTERNATIONAL “BELL ARTE” 콩쿨에서는 특별상을 수상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MANTOVA 국립극장, PAVIA 국립극장, TIMISOARA 국립극장, PALAZZO DEI CONGRESSI 극장, TRAVEDONA MONATE, GAZOLDO, CORTE MELONE, SALO 등 이탈리아 극장에서의 공연을 통해 더욱 입지를 다졌다.
베르디 오페라 의 RIGOLETTO 역으로 TEATRO NUOVO A SALSOMAGGIORE와 COMUNALE DI MASATE 야외 극장에서의 공연과 이탈리아 전역에 걸친 방송을 통해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푸치니 오페라 로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20여개 극장을 순회 공연하였다. 또한, , 등에 출연하며 지속적인 음악활동을 펼쳤다.

귀국 후, 모차르트의 오페라 의 GULIELMO 역으로 국립극장 공연을 성공리에 마치며 국내 활동을 시작한 바리톤 정한욱은 고양 아람누리 대극장과 소극장, 어울림누리 대극장과 소극장, 세종체임버홀, 일신홀 등에서 열린 , , 에 출연하여 전문연주자로 활발한 연주활동을 통해 관객과 만나고 있으며, I Maestri 단원, 서울예술가곡연구회와 서울성악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Piano 김지연

선화예중, 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졸업
독일 에센국립음대(Folkwang Hochschule Essen)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Romania Oltenia state Philharmonic Orchestra, 충북도립, CJB, 평택시교향악단과 협연
영산아트홀 10주년기념 듀오 연주회
영산아트홀 초청 쇼팽&슈만탄생 200주년기념 음악회
충북피아노연구회 리스트탄생 200주년기념 음악회
협성대, 청주대, 한국교원대, 선화예고 강사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 한국교통대, 충남예고, 충북예고 출강. 아르페지오 피아노 앙상블 단원

Program

G. F. Händel (1685-1759)
But who may abide
The trumpet shall sound
from ‘Messiah’

G. Mahler (1860-1911)
Ich bin der welt abhanden gekommen
Liebst du um schönheit
Um mitternacht

M. Ravel (1875-1937)
Don Quichotte a Dulcinee
Chanson romanesque
Chanson epique
Chanson a boire

Intermission


O. Respighi (1879-1936)

Notte
Nevicata
Nebbie

W. A. Mozart (1756-1791)
Hai gia vinta la causa
from ‘Le Nozze di Figaro’

G. Rossini (1792-1868)
Ho un gran peso sulla testa
from ‘Italiana in Algeri’

U. Giordano (1867-1948)
Nemico della patria
from ‘Andrea Chenier’